[ 책소개 ]
강증산, 그는 누구인가?
천지공사를 행하고 후천개벽이라는 문명사적 대전환을 선언한
신비속의 인물 강증산, 그의 초인적 삶의 행적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한다
증산의 삶은 어려서부터 가난과 고통으로 점철된 풀뿌리 민중의 삶, 그 자체였다.
뭇 생명들의 고통과 불행 그리고 문명 비극의 원인을 그 뿌리로부터 해체시켜버린
파천황적인 선언 ―"묵은 하늘이 사람 죽이는 공사만 보고 있도다"
상극과 원한으로 점철된 기존(先天)의 천지질서와 문명질서가
이미 그 운을 다했다는 통렬한 이 선언은 동서양 사상사를 통틀어 전무후무한
대개벽 선언이었다.
[ 저자 및 역자 소개 ]
유 철(劉哲 You, Chul)
경북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는 「칸트의 자아론」(박사학위논문, 1998), 「칸트에 있어서 내감의 역설과 자아」(1999), 「현상체와 가상체」(1997), 「칸트의 버클리비판」(1996), 「증산도의 “原始返本”사상과 개벽」(『증산도사상』 제2집, 2000), 「증산도의 상생사상」(『증산도사상』 제4집, 2001)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루소, 칸트, 괴테』(서광사, 1996)가 있다.
현재 증산도사상연구소 서양철학연구부장.
양재학 (楊 在 鶴 Yang, Jae-Hack)
충남대학교에서 철학박사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는 「朱子의 易學思想에 관한 硏究 - 河洛象數論을 중심으로」(박사학위, 1992), 「王船山의 形而上學」(『한국유교학회』 제6집, 1993), 「尤庵 宋時烈의 哲學思想」(돈암서원, 1994) 등이 있다.
현재 증산도사상연구소 한국학연구부 연구위원.
최상균(崔尙均 Choi, Sang-Kyun)
충남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논저로는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에 있어서 창조성」(박사학위논문 1999),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 관한 한 고찰」(1994),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의 철학과 칸트의 선험철학」(1996), 「화이트헤드의 우주론에서 궁극자의 문제」(1998) 등이 있다.
현재 증산도사상연구소 서양철학연구부 연구위원.
문계석(文桂錫 Moon, Gye-seog) :
동국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저서 및 저술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광사 1987), 『철학의 길잡이』(보성출판사 1995), 『철학의 근본 문제』(도서출판 이화 1996), 『서양의 중세철학』(도서출판 이화 1998)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론에서 형상의 존재론적 지위」(한국 철학자 학술 연합대회 대회보 1996), 「엔트로피 법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과학사상 제19호, 범양사 1996), 「무극,태극,황극의 존재적 근거」(『증산도사상』 창간호 2000) 등이 있다.
현재 증산도사상연구소 연구실장.
[ 목차 ]
연구총서1
[증산도 팔관법]
-생애와 사상 : 강증산의 생애(임경석)
-제1법 상제관 : 우주 속의 상제(上帝), 상제 속의 우주(문계석)
-제2법 우주관 : 우주변화란 무엇인가(양재학)
-제3법 인간관 : 개벽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간상(유 철)
-제4법 신관과 수행관 : 신神으로 가득찬 우주(최상균)
-제5법 천지공사 : 왜 천지공사 인가(원정근) / 세계질서의 새 틀 짜기(노병렬)
-제6법 구원관 : 후천개벽의 실제 상황과 새로운 삶의 길(이윤재) / 후천 선경(민영현)
-제7법 수부관 : 수부와 종통, 그리고 진법의 맥(김현일)
-제8법 일꾼관 : 참 일꾼의 삶(최정규)
'상제님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증산 상제님의 생애-어린 시절과 청년 시절-고난과 인간체험, 수행과 명상생활 (0) | 2011.07.30 |
---|---|
증산도이야기- 동학혁명과 증산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0) | 2011.07.29 |
강증산 상제님은 누구인가? 널리 회자된 강증산 상제님의 조화권능 (0) | 2011.07.14 |
[예수와 증산도]기독교의 결론이 증산도에 있다 (0) | 2011.05.08 |
[석가와 미륵]석가는 누구인가? 미륵은 누구인가? (0) | 201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