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공부의 중요성
佛之形體요 仙之造化요 儒之凡節이니라.
불지형체 선지조화 유지범절
불도는 형체를 주장하고 선도는 조화를 주장하고 유도는 범절을 주장하느니라.
受天地之虛無하여 仙之胞胎하고
수천지지허무 선지포태
受天地之寂滅하여 佛之養生하고
수천지지적멸 불지양생
受天地之以詔하여 儒之浴帶하니
수천지지이조 유지욕대
冠旺은 兜率 虛無寂滅以詔니라
관왕 도솔 허무적멸이조
천지의 허무(無極)한 기운을 받아 선도가 포태하고
천지의 적멸(太極의 空)한 기운을 받아 불도가 양생 하고
천지의 이조(皇極)하는 기운을 받아 유도가 욕대 하니
이제 (인류사가 맞이한) 성숙의 관왕(冠旺) 도수는
도솔천의 천주가 허무(仙) 적멸(佛) 이조(儒)를 모두 통솔하느니라. (증산도 도전 2:150:2~3)
나의 일은 불지형체(佛之形體) 선지조화(仙之造化) 유지범절(儒之凡節)이라야 옳게 가느니라. (증산도 도전 10:39:12)
선천에서 지금까지는 금수대도술(禽獸大道術)이요
지금부터 후천은 지심대도술(知心大道術)이니라.
피차 마음을 알아야 인화(人和) 극락 아닐쏘냐.
마음 닦는 공부이니 심통(心通) 공부 어서 하라.
불(佛)은 선(仙)의 밑자리니라. (증산도 도전 11:250:8~11)
지심대도술(知心大道術)이니 깊은 마음의 문을 열어 하나같이 새사람이 될지니라. (증산도 도전 11:205:3)
인종씨를 추릴 때 여간 마음먹고 닦아서야 살아날 수 있겠느냐? (증산도 도전 11:263:7)
새 세상을 보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요, 마음 고치기가 어려운 것이라.
이제부터 마음을 잘 고치라. (증산도 도전 2:75:11)
태을주는 본심 닦는 주문이니 태을주를 읽으면 읽을수록 마음이 깊어지느니라. (증산도 도전 11:282:2)
하루는 태모님께서 여러 성도들에게 물으시기를 “너희들 도통(道通)을 지극히 원하느냐?”하시니 성도들이 대답하기를 “원이옵니다.”하매 말씀하시기를 “격물(格物)이 곧 도통이니라.”하시니라. 또 말씀하시기를 “격물은 사물의 이치를 관통(貫通)하는 것이니, 관통을 하려면 먼저 마음을 닦아 심통(心通)을 해야 하느니라.” 하시고 (증산도 도전 11:284:1~3)
성도들이 평소 의통을 원하니 태모님께서 꾸짖으시기를
“마음을 고쳐야 의통이 오지, 너희 아버지가 의통 준다고 다 줄 것 같으냐.” 하시고
“마음을 고쳐야 한다. 마음을 고치면 안 되는 일이 없느니라.” 하시고
“마음을 고치려면 선덕(善德)이 있어야 하고 선덕이 있어야 활연관통(豁然貫通)이 되느니라.” 하시니라. (증산도 도전 11:285:1,3,4)
성경신(誠敬信)이라 하지 않더냐. 마음을 속이지 말고 생명을 해하지 말라.
스스로 분수를 지켜 즐거워할 줄 알고 마음 닦는 공부를 잘하라.
정성스러운 마음이 잠시라도 끊어지지 않게 하며 날마다 더 널리 덕을 베풀기에 힘쓰라. (증산도 도전 9:3:2,5,6)
수운시(水雲詩)에 ‘도기장존사불입(道氣長存邪不入)’이라 하였으나
나는‘진심견수복선래(眞心堅守福先來)’라 하노라.
마음을 깨끗이 하여야 복(福)이 이르나니
남의 것을 탐내는 자는 도적의 기운이 따라들어 복을 이루지 못하느니라. (증산도 도전 9:4:1~3)
器虛則受物이요 心虛則受道니라
기허즉수물 심허즉수도
그릇을 비우면 물건을 담을 수 있고
마음을 비우면 도를 받을 수 있느니라.
도를 이루는 것은 너희들 하기에 달렸느니라.
공부하다가 일심을 잃으면 죽느니라. (증산도 도전 2:142:2~4)
마음 지키기가 죽기보다 어려우니라.
사람 마음이 열두 가지로 변하나니, 오직 송죽(松竹)처럼 한마음을 잘 가지라.
口重崑崙山하고 心深黃河水하라
구중곤륜산 심심황하수
입 무겁기를 곤륜산같이 하고 마음 깊기를 황하수같이 하라. (증산도 도전 8:6:1~3)
사람의 화복과 우열장단이 모두 마음 쓰기에 달렸느니라. (증산도 도전 3:87:6)
'증산도 도전 통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타고 난다. 씨종자가 바꿀 수 없다. (0) | 2011.10.02 |
---|---|
대인과 소인의 차이, 대인의 공부를 하는 방법 (0) | 2011.10.02 |
증산도 심성론6 - 신명과 마음에 대한 증산도 도전속의 상제님 말씀 묵상 (0) | 2011.08.23 |
증산도 심성론5 - 천하사 일꾼의 마음자세에 대한 증산도 도전속의 상제님 말씀 묵상 (0) | 2011.08.23 |
증산도 심성론4 - 믿음의 정도에 대한 증산도 도전속의 상제님 말씀 묵상 (0) | 201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