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를 믿는 자가 나에게 기도할 때에는 심고(心告)로 하라. 사람마다 저의 속사정이 있어서 남에게는 말할 수 없고 남이 듣게 할 수 없는 일이 있음이니라. 그러므로 하나도 숨기거나 빼놓지 말고 심고하되 일심으로 하라.” 하시니라. (증산도 도전道典 9:79)
* 조종리에 사는 강칠성(姜七星)이 아들이 없음을 늘 한탄하며 지내거늘
하루는 태모님께서 칠성에게 말씀하시기를 “나를 믿고 정성껏 심고(心告)하라.” 하시고 사흘 밤을 칠성의 집에 왕래하시며 칠성경(七星經)을 읽어 주시니 그 뒤에 칠성의 아내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니라.
태모님께서 성도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칠성 기운은 사람의 생명이니 자손은 칠성 기운으로 생기느니라.” 하시니라. (증산도 도전道典 11:57)
기도(祈禱)는 신앙인이 소망하는 바를 간절히 빌고 구하는 것입니다. 기도는 신앙을 더욱 강하게 하고 신앙인의 내면을 더욱 진실되게 합니다.
천하창생의 생사화복을 주관하시는 천지부모이신 증산 상제님과 태모님, 자신의 조상신에게 기도를 드릴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기도드릴 수 있다. 하지만 천하사 신앙의 대의가 굳건히 자리잡히고 신앙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소박한 개인적인 차원을 벗어나 남 살리는 포덕, 인류를 위한 희생과 봉사, 상생의 삶 등을 기도하게 됩니다. 또한 기도의 횟수가 많아지고 기도시간도 길어집니다. 성사재인成事在人의 대의를 깨달은 성숙한 일꾼의 기도는 항상 참회와 감사와 개척 신앙에 불타는 각오와 결의를 다지는 기도입니다.
기도 가운데 특히 소리내지 않고 마음으로 기도하는 것을 심고(心告)라 합니다. 그리고 식사를 하기 전에 심고 드리는 것을 식고(食告)라고 합니다.
소리를 내서 기도하느냐 혹은 심고로 하느냐 하는 것에 기도의 응답이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소리를 내느냐 안 내느냐는 다만 상황의 문제일 뿐입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진실한 마음, 천하창생을 살린다는 천하사 신앙의 대의 그리고 성경신과 일심에 달려 있습니다.
기도는 언제 어느 때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다 간절한 기도를 지속적으로 올리고자 할 때는 도장 혹은 가정에서 지극한 정성으로 청수를 모시고 사배심고를 올린 후 기도합니다.
천하사 일꾼 신앙의 길을 가는 증산도 신앙인은 하루에 최소 다섯 번의 기도를 드립니다. 아침(새벽), 저녁(밤)으로 청수를 모실 때 심고를 드리게 되고 하루 세 끼의 식사 때에 맞추어 식고를 드리기 때문입니다.
심고문(心告文)
크고 작은 치성 때마다 모든 증산도 신앙인들은 대표기도문인 심고문을 소리내어 봉독합니다. 이 심고문은 모든 신앙인들이 진리의 대의에 심법의 바탕을 두고 천하사 일꾼 신앙의 결의를 다져 상제님과 태모님께 바치도록 사부師父이신 안경전 종정님께서 지으신 기도문입니다.
하늘보좌에서 인간으로 오시어
우주일가의 후천선경을 열어주신
개벽장하느님이시며 미륵존불이시며
삼계대권을 주재하옵신 증산상제님이시여
억조창생의 생명의 어머니이신 태모고수부님이시여
제가 의롭고 진실한 참도인이 될 수 있도록
전생과 이생에서 범한 모든 죄와 허물을 사하여 주옵시고
모든 척신과 복마의 발동으로부터 끌러주옵시고
저의 조상을 해원시켜 주시어
선영과 후손을 새운수의 길로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난법해원시대가 끝나고
곧 닥칠 대환란으로부터 부모형제를 구원하고
반석같은 믿음위에 굳건히 서서
정성과 공경을 다하여
원시반본하여 군사부일체하는
거룩하신 상제님의 상생의 대도를
일심으로 잘닦아
괴로움에 신음하는 억조창생을 널리 건져
후천 오만년 선경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성령의 은광으로 보살펴 주옵소서
'신앙생활 이렇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산도 도전 원전을 이야기식으로 쉽게 풀어놓은 증산도 이야기도전 (0) | 2011.08.12 |
---|---|
증산도의 고유한 절법이 있나요? 사배심고는 어떻게 하는 거죠?[증산도 신앙예법] (0) | 2011.08.04 |
증산도가 모든 의문을 말끔이 해소해 주었습니다-증산도 에세이 (0) | 2011.07.14 |
증산도가 뭐죠? 증산도 연예인은 누구인가? (0) | 2011.05.08 |
청수를 모시는 증산도 신앙문화, 천지기운을 받는 증산도 수행의 첫 단계 (0) | 201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