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죽으면 그 생명력이 곧바로 사라지는 게 아니다. 매미가 허물 벗듯이 육신의 옷을 벗어버린 혼(魂)은 천상에 올라가 신(神)이 된다. 그리고 후손들로부터 제사를 받으며 늘 자손들을 보살펴 준다. 4대(대략 120년)가 지나면 각기 닦은 바에 따라서 영(靈)이 되거나 선(仙)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무덤에 안장된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귀(鬼)가 된다고 한다.
이번 호에는 조상신이 후손들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는 일화를 소개한다. 아래에 소개하는 하연 대감 이야기는, 조상신은 사후 오랜 세월이 흐른 뒤라도 사라지지 않고 후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후손이 생명의 끈을 이어주는 지상에 살아 있는, 조상 자신의 숨구멍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조상의 묘 또한 소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조상신은 영이 밝고 믿을 만한 후손에게는 현몽을 해주기도 하고, 반면에 영명하지 못한 후손이라면 제3자에게 현신하여 일러주기도 한다. 〔편집자주〕
세종대왕 때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 정승이 있었다. 단종 1년에 별세하였는데, 그의 묘는 지금 경기도 시흥 소래산 아래에 있다. 일찍이 그는 자기의 묏자리를 미리 잡아놓고, 그 주위에 홰나무를 많이 심어 놓았었다.
그후 하연 대감이 돌아간 지 오랜 세월이 흘러 산소 주변에는 그가 심은 홰나무들이 무성하게 자라나 숲을 이루었다. 이 숲을 보는 사람마다 탐을 내게 되었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그의 후손들이 홰나무를 팔아 없애기 시작했다.
이 무렵 인천관아에서는 이상한 일이 연달아 일어나고 있었다. 부사(府使)로 내려오는 사람은 도임(到任)하는 그 날로 원인도 모르게 횡사하는 것이었다. 벌써 여러 번이나 같은 일이 되풀이되자 조정에서는 괴이하게 여겨 힘세고 담력이 있는 사람을 가려서 부사로 내려 보내게 되었다.
새로 부임한 부사는 임지에 도착하자마자 곧 육방관속(六房官屬)을 모두 불러서 명령을 내렸다.
“내가 밤을 새워 볼 터이니, 동헌(東軒) 곳곳에 불을 훤하게 밝혀 놓도록 하라!”
어느 덧 한밤중이 되었다. 갑자기 어디선가 높은 사람이 행차할 때 부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더니, 재상(宰相)의 조복(朝服)을 입은 사람이 부사 앞에 홀연히 나타났다.
부사는 뜻하지 않은 일에 순간 놀랐으나 이내 정신을 가다듬었다. 얼른 뜰로 내려가서 그 재상을 맞으면서 동헌 위로 오르도록 안내한 다음 허리를 굽혔다.
“신임 부사 문안드리옵니다.”
“고맙소. 나는 예전에 벼슬을 했던 하연이라고 하오. 내게 한 가지 소원이 있어서 이곳에 부임한 부사들을 찾아왔었는데, 올 때마다 모두가 놀라서 죽고 말았소. 이제 그대에게 내 원을 말할 수 있게 되어 참으로 기쁘오.”
“어서 말씀해 보십시오. 제가 힘 자라는 데까지 거행하겠사옵니다.”
“소래산에 있는 내 무덤 주위에는 내가 살았을 때 심어놓은 홰나무가 많이 있어서 나는 가끔 밤에 그곳에서 놀았네. 그런데 못난 후손들이 그 홰나무를 팔아버려서 조만간 다 베어지게 되었소. 그러니 부사가 그 나무들을 베지 못하도록 하여 주게.”
“명심해서 이르겠습니다.”
부사는 명성이 자자했던 하연 대감을 익히 알고 있었으므로, 그 이튿날 직접 후손들을 찾아갔다. 그리고 홰나무를 베지 말도록 하고 벤 자리에도 더 심도록 단단히 일렀다. 후손들은 자신들의 과오를 크게 뉘우치고 묘 주변을 복원하기로 하였다.
그런 일이 있은 후부터 하연 대감의 혼이 때때로 나타나 그 부사와 놀다 가곤 하였다.
이런 일이 자주 있게 되니 부사도 점차 귀찮아졌고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하연 대감은 고명한 재상이었기에 상대하기도 부담스러울 뿐만 아니라, 귀신과 자주 접촉하는 것은 언젠가 좋지 않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였다.
그래서 어느 날 하연 대감이 찾아왔을 때 부사는 여쭤보았다.
“이 세상에서 죽은 사람이 제일 싫어하는 물건이 있습니까?”
“귀신이나 영혼은 복숭아를 싫어해서 복숭아나무 근처에는 가지를 않는다네.”
“예, 잘 알겠습니다.”
이 말을 듣고 난 부사는 어느 날, 하연 대감이 다시 찾아왔을 때 복숭아를 깎아서 내놓았다. 그러자 묵묵히 앉아 있던 하연 대감이 부사에게 말하였다.
“내가 온 것을 싫어하는 모양이로군. 나는 그대가 사람이 큰 인물인줄 알고 정이 들어 자주 와서 세상 경륜을 함께 나누었는데, 오는 것을 싫어하니 다시는 안 오겠네.”
그 후부터 하연 대감의 혼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를 하늘땅같이 섬기라는 상제님 말씀 가슴속에 담아보세요
1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이 때는 원시반본(原始返本)하는 시대라.
2 혈통줄이 바로잡히는 때니 환부역조(換父易祖)하는 자와 환골(換骨)하는 자는 다 죽으리라.” 하시고
3 이어 말씀하시기를 “나도 단군의 자손이니라.” 하시니라.
4 하루는 말씀하시기를 “부모를 경애하지 않으면 천지를 섬기기 어려우니라.
5 천지는 억조창생의 부모요, 부모는 자녀의 천지니라.
6 자손이 선령(先靈)을 박대하면 선령도 자손을 박대하느니라.
7 예수는 선령신들이 반대하므로 천지공정에 참여치 못하리라.
8 이제 인종 씨를 추리는 후천 가을운수를 맞아 선령신을 박대하는 자들은 모두 살아남기 어려우리라.” 하시고
9 또 말씀하시기를 “조상은 아니 위하고 나를 위한다 함은 부당하나니 조상의 제사를 극진히 받들라.
10 사람이 조상에게서 몸을 받은 은혜로 조상 제사를 지내는 것은 천지의 덕에 합하느니라.” 하시니라. (증산도 도전 道典 2:26:1∼10)
1 김송환(金松煥)이 사후(死後)의 일을 여쭈니 말씀하시기를
2 “사람에게는 혼(魂)과 넋(魄)이 있어
3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神)이 되어 제사를 받다가 4대가 지나면 영(靈)도 되고 혹 선(仙)도 되며
4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귀(鬼)가 되느니라.” 하시니라.
5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자손을 둔 신은 황천신(黃泉神)이니 삼신(三神)이 되어 하늘로부터 자손을 타 내리고
6 자손을 두지 못한 신은 중천신(中天神)이니 곧 서신(西神)이 되느니라.” 하시니라. (증산도 도전 道典 2:118:1∼6)
'사후세계,신의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거진천 사거용인 역사적 이야기 분석, 증산도가 비밀을 푼다 (0) | 2011.07.28 |
---|---|
남에게 원한의 살기를 받으면 머리위에 칼이? 빛 바랜 사진 한장.. (0) | 2011.07.28 |
영혼의 무게가 얼마나 될까? 사후세계가 있나요? 저승사자가 있나요?(증산도 관련) (0) | 2011.07.28 |
죽음, 사후체험, 유체이탈, 임사체험의 비밀의 비밀이 이제 풀렸다 (0) | 2011.07.28 |
철학에서는 영혼을 어떻게 볼까?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0) | 2011.07.14 |